본문 바로가기
라이프-생활

알고보면 더 재밌는 패럴림픽 경기 종목별 경기 참가기준과 규칙

by 달달한 강냉이 2021. 8. 27.
반응형

오늘은 아래 페럴림픽 종목의 참가 기준 및 경기 방식, 규칙등을 알아보겠다. 
ⓛ 양궁 
② 육상
③ 배드민턴 
③ 보치아 
⑥ 카누 
⑦ 5인제 축구
⑧ 유도
⑨ 조정
⑩ 사격
⑪ 좌식배구
⑫ 태권도
⑬ 트라이애슬론
⑭ 휠체어 테니스 

패럴림픽의 등급분류는 패럴림픽의 기본을 형성한다. 패럴림픽 스포츠에서 경쟁하는 선수들의 장애 유형정도가 다 다르기 때문에 스포츠 수행의 측면에서 동일한 조건을 만들기 위함이다. 선수의 성공이 기술과 체력, 힘, 지구력, 전설 능력과 정신력 등으로만 결정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아래와 같은 등급분류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등급 분류는 우선 선수가 패럴림픽 스포츠에 참여할 자격 요건을 갖췄는지를 판단하고, 자격을 갖춘 선수들을 다시 운동 능력의 한계에 따라 한 종목 내에서 여러 그룹들로 나눈다. 페럴림픽 스포츠는 다음 10가지 장애 유형 중 최소한 하나에 의해 영향을 받는 선수에게 기회를 준다.

근력장애, 손상된 수동관절 가동범위, 사지결손, 다리 길이 불균형,단신, 긴장항진, 운동실조, 무정위운동, 시각 장애, 지적 장애. 이와같은 유형별 등급분류 규정은 종목별로 다르며 해당 종목을 관할하는 국제 연맹(IF)에 의해 정해지고, 연맹들은 주기적으로 등급분류 규정을 검토할 의무를 가진다. 2020 도쿄 패럴림픽에서 사용된 등급분류 규정은 아래와 같다. 참고로 이전글에서 알아본 다른 종목 글은 아래에 있으니 참고하기를 바란다. 


 

패럴림픽 각 경기 규정 및 규칙에 대한 모든 것

패럴림픽 사이클 or 승마 or 골볼 or 파워리프팅 or 수영 or 탁구 or 휠체어 농구 or 휠체어 펜싱 or 휠체어 럭비 참가자격 등급 분류를 알아보려고 한다. 등급분류는 각 경기 규정 및 규칙이기에 꼭

all-review-story.tistory.com

 

패럴림픽에 대한 9가지 질문

2020 도쿄 패럴림픽 개막된 가운데 도쿄패럴림픽 보면서 페러림픽 기간과 종목외에도 패럴림픽(영어: Paralympic Games) 이란 기원, 역사등이 궁금해졌다. 사실 페럴림픽하면 장애인 올림픽이 떠오르

all-review-story.tistory.com

 

올림픽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연금과 포상금은 얼마나 될까?

올림픽메달 포상금과 연금 or 일시금과 포상금은 얼마나 될까요? 그리고 메달을 또 딴다면? 올림픽 금메달연금은 중복 지급될까요? 페럴림픽 메달연금은? 각 올림픽메달 연금이 중복 되는지, 올

all-review-story.tistory.com


Man vector created by pch.vector - www.freepik.com

패럴림픽 경기 종목별 경기 참가기준과 규칙

Icons made by 비네시 오비얀

1. 양궁

양궁은 신체 장애를 가진 선수들만이 참가할수 있는 종목이다. 2020 도쿄 페럴림픽에서 선수들은 W1과 오픈 두종목에서 경쟁한다. W1은 휠체어를 사용하는 사지마비 선수들이 참가하고, 오픈은 W2와 ST등급이 합쳐진 종목으로 휠체어를 사용하는 선수와 서서 경기하거나 의자에서 경기가 가능한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다. 장애에 따라 보조장비 또는 경기 보조원의 도움을 받을수 있다. 입으로 활시위를 당기는 등 다양한 기법이 사용될수 있다. 

Icons made by 프리픽

2. 육상

육상은 신체장애, 지적장애, 시각장애가 있는 선수들이 참가할수 있는 종목이다. 육상에서는 T와 F 그리고 숫자를 이용해 등급을 구분한다. 접두사 T는 트랙, 마라톤, 도약 경기를 의미한다. F는 필드 경기를 의미한다. 이 코드로 트랙/도약/마라톤 혹은 필드 경기 중 어느 정목에 속하는지를 알 수 있고, 등급은 장애인 종류 (첫번째 자릿수로 표시)와 장애 정도에 따라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두번째 숫자가 낮을수록 장애 정도가 높다.

T/F11, T/F12, T/F13 등급

시각 장애 선수 대상

T/F20 등급

지적 장애 선수 대상

T/F30 등급

뇌성마비나 뇌 손상으로 인해 조정 능력 장애(운동실조, 무정위운동)가 있는 선수를 대상

T/F31, T/F32, T/F33, T/F34 등급

휠체어를 사용하는 선수를 대상

T/F35, T/F36, T/F37, T/F38 등급

선 자세로 경기를 치룰 수 있는 선수 대상

T/F40, T/F41 등급

단신 장애 선수 대상

T/F42, T/F43, T/F44 등급

하지결손, 다리 길이 불균형, 하지 근력 장애, 하지 수동관절가동범위운동 장애가 있는 선수들 중 선 자세로 경기를 치룰 수 있는 선수 대상

T/F45, T/F46, T/F47 등급

양측 상지 장애, 편측 상지 장애, 상부 사지 근력 장애, 상부사지 수동 관절가동범위운동 장애가 있는 선수들 중 서서 출전할 수 있는 선수를 대상

T/F51, T/F52, T/F53, T/F54, T/F55, T/F56, T/F57 등급

경수손상, 척수외상, 절단, 기능 장애등으로 근력에 장애가 있고, 움직임이 제한적이며, 사지 결손, 다리 불균형을 겪는 선수들 중 앉아서 출전해야 하는 선수를 대상

T/F61, T/F62, T/F63, T/F634 등급

다리를 절단한 선수들 중 의족을 끼고 서서 출전하는 선수를 대상

Icons made by 프리픽

3. 배드민턴 

WH 1 등급

두 다리와 상체에 장애가 있는 선수들 중 휠체어를 타야하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다.

WH 2 등급

하나 혹은 두 다리에 장애가 있고, 상체에는 장애가 경미하거나 없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다. 이 클래스의 선수들은 휠체어를 타고 경기해야한다.

SL 3 등급

반드시 서서 경기해야한다. 하나 혹은 두 다리에 장애가 있고, 걷기/달리기가 불균형한 선수들을 대상으로한다.

SL 4 등급

SL3 선수들에 비해 장애 정도가 경미한 선수들이 서서 경기를 치르는 두번째 클래스다. 하나 혹은 두 다리에 장애가 있거나 걸음/달리기가 불균형한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다. SU5 등급상지에 장애가 있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다. 라켓을 드는 손이나 반대쪽 손 어디든 장애가 있다면 이 등급에 해당된다.

Icons made by 프리픽

5. 보치아

보치아는 신체 장애를 가진 선수들이 참가할수 있는 종목이며 남녀 선수들이 함께 경쟁한다. 장애의 유형이어느 정도냐에 따라 BC1~4개의 등급으로 나눠진다. 경기 규칙은 등급에 맞춰 조정된다. 예를 들어 손으로 투구를 할 수 없는 선수는 공을 발로 밀어서 경기 할 수 있다. 또는 경기 보조자의 도움을 받아 경사로와 보조 기구를 사용하여 투구할 수도 있다.

BC 1 등급

다리, 팔 및 상체의 움직임에 심한 제약이 있고 일반적으로 전동 휠체어를 사용하는 선수를 대상으로 한다. 이 등급의 선수들은 보조장치 없이 투구가 가능하다. 또한 상황에 따라 발로 공을 밀어서 경기하는 것이 허용된다. 

BC 2 등급

BC2 등급의 보치아 선수들은 BC1 등급 선수들보다 높은 상체조절능력과 팔의 운동 능력을 가졌다. 또한 팔과 손의 운동능력으로 공을 오버핸드나, 언더핸드, 다양한 그립으로 던질 수 있다. 하지만 이 등급의 선수는 경기 보조자의 도움을 받을 수 없다. 

BC 3 등급

사지의 운동 능력이 상당히 제한되어 있다. 뇌 또는 비뇌적 요인으로 상체를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이 없거나 부족한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다. 공을 쥐고, 놓는 동작을 지속적으로 할 수 없다. 떄문에, 경기 보조자의 도움을 받아 경사로와 보조기구를 사용해 공을 굴리는 방식으로 경기힌다. 

BC 4 등급

BC1~2등급은 긴장항진, 불수의운동 또는 무정위운동등 뇌성마비 선수를 대상으로 하는 반면에, BC4등급은 뇌성마비는 없지만 근육 약화가 진행중이고, 근육량손실(근육영양장애), 사지에 모두 영향을 주는 척수 손상 또는 절단 장애를 가진 선수들이 포함된다. 선수들은 보통 언더핸드로 진자 운동의 관성을 이용해 투구를 하며 양손이나, 양팔을 다 사용할 때도 있다. BC4등급의 선수들은 공의 그립을 유지하기 위해 장갑을 사용할수 있다. 

Icons made by 프리픽

6. 카누 

카누는 신체 장애를 가진 선수들이 참가 할 수 있는 종목이다. 선수들은 장애정도와 운동 능력의 한계에 따라 KL1-3의 세 그룹으로 나뉜다.

KL 1 등급

상체운동이 매우 제한된다. 다리를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고 어깨와 팔만으로 패들링을 해야하는 선수다.

KL 2 등급

부분적으로 다리와 상체를 사용할 수 있는 선수다.

KL 3 등급

상체와 다리 운동 기능을 부분적으로 사용할수 있는 선수다. 카약에서 상체를 앞쪽으로 구부린 자세로 앉을 수 있다. 패들링시 하체를 사용할수 있는 선수다.

7. 5인제 축구

페럴림픽 5인제 축구는 B1등급, 전맹 선수들이 참가할수 있는 종목이다. 필드 플레이어들은 B1등급의 전맹선수들로 구성되지만, 일부 선수들은 최소한의 빛인지가 가능할 수도 있다. 그래서 네명의 필드 플레이어들은 공정성을 위해 전원이 빛차단 안대를 착용한다.

Icons made by 프리픽

8. 유도

유도는 시각장래를 가진 선수들이 참가할수 있는 종목이다. 선수들은 시각장애의 정도에 따라 B1(전맹)부터 B3(저시력)까지 등급으로 나눠지나, 이등급과는 관계없이 실제 시합은 등급에 따른 분류는 없다. B1-3 등급 선수들은 모두 한 체급에서 다같이 경쟁한다. 

9. 조정

신체 장애나 시각 장애를 가진 선수들이 참가할 수 있는 종목이다.

PR 1 등급

몸통이 기능을 할수 없거나 최소한의 기능만이 가능해 팔이나 어깨의 힘을 주로 사용하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다. 앉아서 균현을 잡기 어렵기 때문에 자세 유지를 위한 스트랩이 필요할 경우가 있다. PR1 선수들은 싱글 스컬(남/녀)종목에 출전한다.

PR 2 등급

상체와 팔, 어깨의 기능을 사용할수 있지만 다리의 기동성이나 기능이 심각하게 약해 슬라이딩 시트를 사용할수없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다. 더블스컬(혼성) 종목에 출전한다. 

PR 3 등급

다리 , 상체, 팔, 어깨에 기능이 남아있고 슬라이딩 시트를 사용할수있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다. 이 등급에는 시각 장애선수들이 참가할수 있다. 배 한 대에 최대 두명까지 시각 장애 선수가 탑승할수 있고, PR3 선수들은 콕스4(혼성) 종목에 출전한다. 

10. 사격

패럴림픽 사격은 참가선수의 신체 장애 정도에 따라 3가지 등급으로 나뉜다. 이 등급은 선수가 참가하는 종목이 소총인지 권총인지도 구분한다. 등급은 장애정도와 선수가 팔(손또는 팔)로 총을 잡을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사격의 세가지 클래스는 SH1 권총, SH1 소총 (팔로 총을 잡을수 있음), SH2 소총(팔로 총을 잡을수 없어서 스탠드 사용) 이다.

SH 1 등급

권총은 한손으로 잡아야 하기 떄문에 SH1 권총은 한쪽 팔이나 다리에 장애를 가진 선수를 대상으로 한다. 여기에는 절단 또는 척수 부상을 당한 선수가 포함된다. 선수들은 규정에 따라 앉은 자세로 경기를 하거나 선자세로 경기를 진행할수 있다. 소총은 양손으로 잡아야 하기 때문에 SH1 소총 등급은 다리에 장래를 가진 선수들로 절단이나 하반신 마비 선수들이 포함되는데, 선수들의 장애 정도에 따라 앉아서 진행하거나 서서 경기를 진행한다.

SH 2등급

소총은 팔의 장애 때문에 소총의 무게 전체를 지탱할수 없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다. 사격 스탠드를 사용해 소총을 지탱한다. 이 등급으로 출전하는 선수들은 팔 절단 또는 선천적으로 팔의 근육 힘, 운동에 영향을 주는 장애를 가진 선수와 사지마비와 같이, 팔, 다리 모두 장애를 가지고 있는 선수다. 이 등급의 선수들은 대부분 앉아서 경기를 치룬다.

11. 좌식 배구

좌식 배구에는 VS1-2의 두가지 등급이 있다. VS2 등급 선수의 장애는 일반적으로 VS1 등급 선수보다 장애정도가 덜하다.

VS 1 등급

좌식 배구의 핵심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가 있는 선수들을 대상으로한다. 예를 들어, 발목 혹은 그 이상 부위의 절단, 선천적으로 사지가 짧거나 없는 경우, 관절과 뼈의 비정상적인 접착, 강성으로 인한 뻣뻣한 무릎, 긴장항진, 무정위운동, 불수의 운동 등 장애가 있는 선수가 포함된다.

VS 2 등급

좌식 배구의 핵심 기능에 영향을 덜미치는 장애가 있는 선수를 대상으로 한다. 예를 들어 한발, 양발 절단, 뻣뻣한 발목, 한손에 네손가락 이상 절단, 덜 심한 긴장항진과 불수의 운동 및 무정위운동 드으이 장애를 
가진 선수가 포함된다. 

Icons made by 프리픽

12. 태권도

도쿄2020에서는 겨루기 종목만이 실시된다. 이 종목은 팔에 장애가 있더라도 참가할 수 있다. 패럴림픽의 종목은 K44, K43 두 등급을 합쳐 K44 등급 경기로만 진행된다. K44는 팔이나 다리 한쪽에 제한이 있는 선수들이다. K43은 양팔의 팔꿈치 아래로 제한이 있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다. 

13. 트라이애슬론

신체 장애나 시각장애인을 가진 선수들이 참가할수 있는 종목이다. 트라이애슬론 또는 철인삼종경기는 일반적으로 세 종목의 스포츠를 함께하는 경기를 말한다. 보통 수영, 사이틀, 달리기로 이뤄져있다.

PTWC 1-2 등급

근력, 운동범위, 하나 또는 두개의 다리 절단과 같은 사지 결핍, 척수 손상으로 인한 하반신 마비 또는 사지 마비를 갖고 있는 선수들이 대상이다. 참고로 등급 1은 엉덩이나 상체에 더 심한 장애가 있는 선수 대상이다. 이 등급에서 사이클은 핸드 사이클로 사용되고 러닝에서는 휠체어가 사용된다. PTWC 출발 인터벌 시스템을 이용하는 대회에선 PTWC1, PTWC2 두 등급 선수들이 함께 경기에 참가한다. 

PTS 2-5 등급

사지 중 하나에 장애가 있지만 설수 있는 선수를 대상으로 한다. 예를 들어, 팔 혹은 다리 절단 또는 뇌성마비와 같은 기능적 장애가 있는 선수 대상이다. 선수들은 장애에 따라 2-5등급으로 나뉜다. 이 등급에서 보철 다리와 같은 보조 장치를 사용하여 자전거를 타거나 달리는것이 허용된다.

PTVI1-3

시각장애가 있는 선수가 대상이다. 이것 역시 장애가 가장 심한선수의 등급은 1이다. 선수들은 출발 인터벌 시스템을 활용해 PTVI 경기에 함께 출전한다. 이 클래스 선수는 동성 가이드의 도움을 받고 탠덤(2인용) 자전거가 사이클링에 사용된다. 도쿄 2020의 경우 남자와 여자 모두 9개의 등급중 네개의등급의 종목이 열린다. 남자는 PTWC, PTS4, PTS5, PTVI이고 여자는 PTWC, PTS2, PTS5, PTVI 클래스 경기가 실시된다. 

Icons made by 프리픽

14. 휠체어 테니스

휠체어 테니스는 2개의 클래스로 분류된다. 모든 선수들은 적어도 하나의 다리에 장애가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오픈 디비전 클래스

오픈 디비전에는 한쪽이나 양쪽 다리에 영구적인 신체적 장애가 있어서 기능을 잃은 선수 혹은 종목의 최소 기준에 부합하는 선수가 참가할수 있다.

쿼드 디비전 클래스

한팔 혹은 양팔에 영구적인 신체 장애가 있어 기능을 잃은 선수 혹은 최소 3개의 장애를 가진 경우 쿼드 디비전에 출전할수 있다. 이선수들은 라켓을 다루거나 휠체어를 움직이는데 어려움이 있을수 있어 플레이를 하려면 라켓에 테이핑을 하거나 보조장치가 필요할수 있다. 

반응형

댓글